목록전체보기 (70)
Gro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aRgx/btqEjC1X6Va/QwzI1V1kiIDUCelubYx0S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에 배운 클린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실제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앱 개발을 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을 구성해보겠습니다. 오늘 배운 내용은 앞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유용하기 때문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클린 아키텍처를 위한 개발 환경? 안드로이스 스튜디오에서 클린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앱 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던 세팅들을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클린 아키텍처에서는 presentation, data, domain과 같이 3개의 레이어가 각각 존재하며 각 레이어에서 맡은 역할이 나뉘어있다면 반면에 기존의 설정에서는 app 레이어 한 개만이 존재할 뿐 다른 설정은 되어있지 않습니다. 즉 결론적으로 클린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앱 개발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iKPk/btqD9NC4z0J/Ty8HcJrtFj0fFUDXo5HKZ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자분들 사이에서도 많이 헷갈려하시고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주제 중 하나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 디자인 패턴의 차이에 대해서 한 번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이제 시작해보겠습니다. 👩🏫 다양한 아키텍처와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는? 만약에 특정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 프로젝트를 참여하는 인원은 한명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다수의 개발자분들이 함께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그 프로젝트를 홀로 진행한다면 프로젝트 개발 담당자는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도 되며 자신의 프로그래밍 성격에 맞게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전의 개발 문화에서 지향하였던 방식입니다. 반면에 이번에는 프로젝트를 다수의 개발자분들과 함께 진행한다면 어떨까요? 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pFT4/btqDZYpv81C/v5BKtPv6pD4pFGLqvzv5C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 시간에 배운 DI 의존성 주입 디자인 패턴을 실제로 구현해보려고 합니다. DI 디자인 패턴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기술들 중 먼저 Koin 코인 라이브러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DI 의존성 주입 디자인 패턴 정리 먼저 Koin 라이브러리에 대해 알아보기 전 지난 시간에 배운 DI 의존성 주입에 대해 간략히 복습하겠습니다. 의존성이란 한 객체가 다른 객체를 참조하거나 필요로 하는 경우 이를 의존성이 존재한다고 부릅니다. 반면에 주입은 의존성이 존재하는 객체가 필요로하는 다른 객체를 간접적으로 대신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DI 의존성 주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해주세요. Dependency Injection 디자인 패턴 안녕하세요, 오늘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kXnP/btqDTGwi8xq/FSQ6J67mS75jKZypCgQaT1/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새롭게 추가하면 좋을만한 패턴인 의존성 주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존성 주입은 어느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은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 Dependency Injection 대체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의 관점에서 Dependency Injection 즉 의존성 주입을 간단히 설명한다면 하나의 객체(C)가 다른 객체(B)를 필요로하는 특정 객체(A)에게 의존성을 대신 간접적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겠습니다. A라는 특정 객체가 B라는 다른 객체를 참조하고 싶다면 이전 같은 경우에는 A가 B를 직접적으로 참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의존성 주입을 활용한다면 C라는 하나의 객체가 A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