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보기 (70)
Gro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dbc4/btqFHaQuCLg/tdjn7nRGumRibqty3s9hl0/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그래머스에 존재하는 문제에 대한 풀이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 문제는 코딩테스트 연습 채널에서 풀어볼 수 있으며 이전 글과는 달리 간단하게 작성하겠습니다. 📚 문제 설명 어느 날,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합니다. 사용자는 크레인을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LELx/btqFrCFtJav/7RjK2tZkdKdoQFL106FIqK/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그래밍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한 번쯤은 모두 들어보았을 깃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언제 깃이 처음으로 탄생하였으며 현재 수많은 사람들이 이 깃을 왜 이렇게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Git 깃의 첫 시작 Git 깃이 처음으로 탄생하게 된 계기는 리눅스와의 인연이 깊습니다. 리눅스의 창시자 리누스 토르발스는 약 26년 동안 1만 명이 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과 함께 오픈 소스 방식으로 리눅스를 개발하였습니다. 그러나 많은 개발자들은 이러한 작업환경이 매우 불편하고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느껴 개발자들이 조금 더 효율적인 작업 환경에서 개발을 할 수 있기를 간절히 원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리누스 토르발스는 깃을 세상에 소개하였습니다. 그가 깃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x3Rw/btqEVVUrQBQ/a9u6JO8mfOGxakJV7PbLB1/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가벼운 마음으로 Java 자바에서의 문자열 형 변환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문자열 형 변환에 대해서 살펴보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 한 번 구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형 변환이란 무엇인가? 형 변환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특정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형시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형 변환을 진행하는 이유는 프로그램 내에서 연산 및 비교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각 대상의 타입을 서로 동등하게 맞춰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형 변환의 종류는 아주 다양하며 그중에서 오늘 저희는 문자열 형 변환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자열 형 변환의 종류 문자열 형 변환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String.valueOf()..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hmqH/btqEwhqoZH3/3yozGeldrBC8R2v80KtZA1/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안드로이드의 내부 DB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그중 저희는 Room이라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실제로 안드로이드 속 내부 DB를 구현해보겠습니다. 🤔 내부 DB란 무엇인가? 안드로이드에서는 앱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저장소로 SQLite라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른 외부 DB들과 달리 소규모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하는데 적합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적은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최적화된 만큼 속도가 빠르고 가볍다는 장점이 존재하여 현시점의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공통적으로 내부 DB를 활용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현대의 대다수의 사람들은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연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