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기초/Network (3)
Gro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2Q1J/btqOP4zmAOq/vWjCVWfnlKd1gSs8kGmRe0/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터넷 상의 용어로 평소에 자주 헷갈리고 궁금했던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정리하려고 합니다. URI & URL & URN의 의미와 각각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 URI란? 먼저 URI의 약자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이며 이를 해석하면 자원의 식별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인터넷 상에서 어떤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는 URL과 URN의 상위 개념으로서 이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추후 배울 URL과 URN은 URI에 포함되는 관계이며 이 둘의 차이는 자원을 식별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즉 다시 한번 정리하자면 URL과 URN은 URI의 하위 개념이며 자원을 식별하는 목적은 같으나 서로의 식별 방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em4wa/btqGDPb22Zo/9oLuLbQAlk3mfpfEOybfHK/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주제인 네트워크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프로그래머에게 네트워크는 정말 중요한 파트이며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지 소개하겠습니다. 🇰🇷 네트워크가 왜 중요하나요? 이전까지 저는 프로그램 개발자에게 중요한 것은 자신이 개발하는 플랫폼에 대한 스킬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 역시 서버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프로그래머에게만 해당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저의 잘못된 생각이었습니다. 실질적으로 네트워크라는 분야는 앞에서 말했던 서버와 가장 연관이 깊습니다. 그러나 네트워크라는 분야는 서버 개발자뿐만이 아닌 일반적인 플랫폼 개발자에게도 해당하는 분야이며 전문적이지는 않더라도 다른 사람들과 소통이 가능하도록 기본은 알아야 합니다. 📡 앞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SFA0/btqEiNJBI6O/PokWbI8tyLO9sgMdWEc1W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HTTP 방식으로 필요로하는 자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REST API 아키텍처의 개념과 방식에 대해서 이해와 공부를 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합니다. 💁♀️ REST 무엇인가? REST API 방식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REST와 API 각각이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알아야합니다. 먼저 RES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인 로이 필딩이 발표했습니다. 로이 필딩은 당시 HTTP의 우수성에 비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 아쉬워 HTTP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REST를 출시했습니다. REST는 간단히 HTTP 기반으로 필요한 자원에 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