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기초/Pattern (3)
Gro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iKPk/btqD9NC4z0J/Ty8HcJrtFj0fFUDXo5HKZ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개발자분들 사이에서도 많이 헷갈려하시고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주제 중 하나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 디자인 패턴의 차이에 대해서 한 번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그럼 이제 시작해보겠습니다. 👩🏫 다양한 아키텍처와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는? 만약에 특정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 프로젝트를 참여하는 인원은 한명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다수의 개발자분들이 함께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그 프로젝트를 홀로 진행한다면 프로젝트 개발 담당자는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지 않아도 되며 자신의 프로그래밍 성격에 맞게 코드를 작성하면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전의 개발 문화에서 지향하였던 방식입니다. 반면에 이번에는 프로젝트를 다수의 개발자분들과 함께 진행한다면 어떨까요? 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kXnP/btqDTGwi8xq/FSQ6J67mS75jKZypCgQaT1/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새롭게 추가하면 좋을만한 패턴인 의존성 주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존성 주입은 어느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높은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 Dependency Injection 대체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의 관점에서 Dependency Injection 즉 의존성 주입을 간단히 설명한다면 하나의 객체(C)가 다른 객체(B)를 필요로하는 특정 객체(A)에게 의존성을 대신 간접적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겠습니다. A라는 특정 객체가 B라는 다른 객체를 참조하고 싶다면 이전 같은 경우에는 A가 B를 직접적으로 참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의존성 주입을 활용한다면 C라는 하나의 객체가 A라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zJ1s/btqDLEMQcom/E9hHM1OnjT1Py4KAORV2YK/img.jpg)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전보다 조금 더 어려운 내용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을 알아보려고합니다. 수많은 종류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 중 오늘은 Clean Architecture 패턴에 대해서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 Clean Architecture 무엇인가? 지난 2012년 Uncle Bob은 Clean Architecture라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을 발표했습니다. 그는 이 패턴을 활용한다면 SW 개발의 체계적인 구조와 계층들을 분할함에 따라 이전보다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구현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그는 지난 2017년 Clean Architecture 패턴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한 책을 새롭게 출판하면서 다시 한 번 SW 개발 시장을 놀랍게하였습니다. 아직까지도 Clea..